통합 검색

CULTURE MORE+

네 송이 장미의 유혹 '포 로지스'

가슴에 장미를 품은 포 로지스는 버번위스키 특유의 거친 풍미를 간직하면서도 부드럽게 어리는 향기로 전 세계 위스키 마니아에게 사랑받는다.

UpdatedOn August 23, 2022

3 / 10
/upload/ktx/article/202208/thumb/51720-495224-sample.jpg

 

/upload/ktx/article/202208/thumb/51720-495225-sample.jpg

버번위스키는 강하다. 맛과 향이 그렇거니와 사람들을 유혹하는 정도도 독특하리만치 강력하다. 일단 향을 살펴보자면, 마개를 열자마자 바닐라와 캐러멜의 달달한 내음이 한순간에 치고 올라온다. 향이 이러니 맛 또한 마냥 달달하리라 생각하겠지만 오산이다. 눈이 번쩍 뜨이는 아세톤 향이 입안에서 휘몰아치고, 그 뒤를 이어 후추를 한 움큼 씹는 듯한 매운맛이 목을 타고 가슴에 쏟아진다. 향을 맡고, 맛을 음미하는 이 화끈한 과정을 어찌 잊을 텐가. 여느 스카치위스키보다 5도에서 10도 높은 알코올 도수에서 폭발하는 맛에 숱한 이가 매료되어 오직 버번위스키만을 찾는다. 버번위스키인 포 로지스 증류소의 전설적인 마스터 디스틸러 짐 러틀리지도 그중 하나다. 그는 어느 날 레스토랑에 들러 버번위스키 한 잔을 주문해 마시고는 곧바로 절규한다. “이게 도대체 뭐지? 나한테 독을 준 건가?” 웨이터가 실수로 스카치위스키를 가져온 것이었다.

3 / 10

 

  • 포 로지스 증류소는 1910년 지은 스페인풍 건물이 유명하다. 미국 켄터키주 로렌스버그에 위치하며, 두 가지 매시빌과 다섯 가지 효모를 배합한 레시피로 스몰 배치, 부르봉 같은 브랜드를 주조한다.포 로지스 증류소는 1910년 지은 스페인풍 건물이 유명하다. 미국 켄터키주 로렌스버그에 위치하며, 두 가지 매시빌과 다섯 가지 효모를 배합한 레시피로 스몰 배치, 부르봉 같은 브랜드를 주조한다.

네 송이 장미의 전설

버번위스키를 자석이라고 할 때, 사람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이 엄청나다고밖에 표현할 수 없다. 한국에서 ‘버번 3대장’으로 불리는 버팔로 트레이스, 메이커스 마크, 와일드 터키를 비롯해 노아스 밀, 우드포드 리저브, 1792 스몰 배치 같은 불멸의 명작이 곳곳에서 맹렬하게 판매된다. 옥수수를 51퍼센트 이상 함유한 원액을 쓰고, 새 오크 통에서 숙성해야 하는 등 미국 연방 정부의 까다로운 규정을 충족한 끝에 출시되는 위스키의 매력에 세계가 열광하고 있다. 포 로지스도 마찬가지. 한국에서 누리는 명성이 아직은 아쉬울 뿐, 이미 마니아에게는 매일 마시거나 두고두고 아껴 마시는 버번위스키로 꼽힌다. 앞서 나열한 버번위스키와 함께 불멸의 반열에 오른 포 로지스(Four Roses)에 대한 이야기는 ‘네 송이 장미’라는 로맨틱한 이름이 탄생한 사건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름의 유래에 많은 설이 나도는 가운데, 포 로지스 증류소가 공식 인정한 이야기는 이렇다. 1840년, 미국 버지니아주 린치버그에서 태어난 폴 존스 주니어는 벨이라는 여성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결혼을 꿈꾼 그는 사랑을 고백한 뒤 두 마디를 덧붙인다. 며칠 뒤 열리는 무도회에서 장미 세 송이를 단 드레스를 입는다면 프러포즈를 거절한 것으로 알겠다는 말이었다. 만약 자신을 받아들이겠다면, 장미 네 송이를 달아 달라고도 했다. 그날이 왔다. 폴 존스 주니어는 떨리는 마음을 붙잡고 무도회장에 갔다. 춤사위를 벌이는 군중 사이에서 벨이 모습을 드러냈다. 한 송이, 두 송이, 세 송이…. 그리고 네 번째 장미. 이후 그는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해 맹활약했으며, 고향에 돌아와 위스키를 생산하다 1888년 상표권을 등록한다. 그게 바로 포 로지스다. 호사가가 꾸민 설화일지 모르나, 포 로지스의 맛과 향에 이러한 낭만이 넘치도록 흐른다는 것만은 진실이다.

이쯤에서 포 로지스를 마셔 보자. 버번위스키 특유의 폭발적인 맛은 그대로이되, 뭔지 모를 부드러움이 호수에 비치는 달무리처럼 잔잔하게 번진다. 잘 구운 빵의 고소한 향기도 예상치 못한 순간에 코끝을 간질인다. 일반적으로 버번위스키에서는, 흡족해하지 않은 당신을 설득할 생각 따위 없다는 배짱이 느껴진다. 마시는 이에게 젖어 든다기보다 마시는 이를 거칠게 몰아세우는 박력이 장점이자 단점인 것이다. 포 로지스는 다르다. 전술한 대로 폭발적이면서도 그 안에 조곤조곤 호소하는 목소리가 숨어 있다. 네 송이 장미가 선사하는 낭만이 가슴으로 흘러내린다. 

사랑을 선물하는 우아한 맛

미국 켄터키주 로렌스버그에 있는 포 로지스 증류소는 나라가 사적으로 지정한 스페인풍 건물로 유명하다. 1910년에 지은 유서 깊은 이 증류소에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위스키를 빚는다. 위스키 주조에서 곡물 배합 비율을 매시빌이라고 하는데, 옥수수가 주원료인 버번위스키의 경우 옥수수를 51퍼센트 이상 넣고 나머지는 호밀, 보리, 밀 등을 적절하게 섞는다. 포 로지스 증류소는 옥수수 비율을 60퍼센트와 75퍼센트까지 끌어올린 매시빌을 바탕으로 각각 다섯 가지 효모 맛을 가미한 열 가지 레시피를 개발했다. 특히 매운맛의 K효모, 과일 향의 O효모를 쓰는 스몰 배치 버전이 단연 인기다. 이 외에도 부르봉, 싱글 배럴, 스몰 배치 셀렉트가 붉디붉은 네 송이 장미를 달고 매혹의 향기를 퍼뜨린다.

세상에는 정말 많은 위스키가 존재한다. 모두 맛보는 일은, 아마도 불가능하다. 주어진 시간이 무한하지 않으니 우리에겐 선택과 집중의 묘미가 필요하다. 다시 포 로지스를 마셔 보자. 가슴에 또 한 번 장미의 낭만이 흐른다면 이제 더 설명을 듣지 않아도 좋다. 당신은 포 로지스에 집중하게 되었으니까, 포 로지스와 사랑에 빠질 테니까.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규보

RELATED STORIES

  • CULTURE

    What's up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 CULTURE

    고려 사람이 사랑한 자연과 예술-청자 죽순 모양 주자

  • CULTURE

    풍금 소리를 타고 스며든 믿음

    유쾌하고 따뜻한 뮤지컬 <쿠로이 저택엔 누가 살고 있을까?>가 원년 멤버 홍나현 배우와 함께 돌아왔다. 일인극과 대극장 공연까지 끊임없이 성장하는 이 배우의 행보가 궁금하다.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MORE FROM KTX

  • CULTURE

    정교하고 빼어나다 '청자 사자 장식 향로'

  • LIFE STYLE

    사람 중심의 철도 안전 문화를 이끌겠습니다

    지난 7월, 한문희 신임 한국철도공사 사장은 취임식에서 “조직의 저력을 끌어올려 안전 향상, 경영 혁신을 이루겠다” 라고 포부를 밝혔다. 철도 이용객을 대표해 그에게 한국 철도의 미래를 물었다.

  • LIFE STYLE

    수도권 전철의 산증인, 손길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고 올해 50주년을 맞았다. 오랫동안 전철 업무를 담당하며 교통카드도 도입한 손길신 전 철도박물관장을 만났다.

  • LIFE STYLE

    맛있는 가을, 춘천 정원 맛집

    바깥으로 나서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계절이다. 강원도 춘천에서 예쁜 정원을 자랑하는 맛집 세 곳을 골랐다.

  • TRAVEL

    근원이 되는 땅, 원주 문화 기행

    소설가 박경리가 강원도 원주 땅에서 <토지>의 대단원을 마무리한 지 꼭 30년을 맞는 해. 원주시청 함은희 문화예술과장이 책 향, 흙 내음 짙은 여행 코스를 소개한다.